칼럼-공예치료는 왜 없을까?

[패션저널&텍스타일라이프:허북구 나주시천연염색문화재단 국장]국내 최대의 공예 축제이자 공예전문 박람회인 공예트렌드페어가 지난 6일 막을 내렸다. 코로나19 팬데믹 속에서 개최된 이번 공예트렌드페어의 대표적인 키워드는 ‘공예치유’였다. 코로나로 지친 마음에 치유 존재로서 공예의 가치가 그 어느 때 보다 빛났기 때문이다. 공예는 코로나 팬데믹과는 별개로 치유 프로그램에 사용되는 단골 소재이다. 독립된 분야로 협회와 학회까지 구성되어있는 원예치료, 미술치료에서도 공예는 없어서는 안 될 만큼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런데 정작 공예분야에서는 공예치료라는 것이 없다. 공예와는 거리가 있어 보이는 원예에서는 원예치료가 있다. 원예치료는 대학에서 과목으로 다뤄지고 있으며, 대학원에서는 전공학과가 있다. 원예치료 전공 석사 및 박사 논문은 수 백편에 이른다. 원예치료가 좀 더 확장된 것에는 치유농업이 있다. 치유농업은 농업 농촌 자원이나 이와 관련된 활동을 이용하여 국민의 신체, 정서, 심리, 인지, 사회 등의 건강을 도모하는 활동과 산업이다. 치유농업은 농업계의 활동에 그치지 않고, 치유농업육성법까지 생겨났다. 치유농업육성법은 2019년 3월 18일 발의된 법률안과 2019년 8월 9일 발의된 벌률안 2개가 입법과정을 거치며 병합이 되고, 대안이 제시되는 과정을 거쳐 마침내 2020년 3월 6일 본회의를 통과되었다. 치유농업육성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였기 때문에 치유농업 육성 및 활성화를 위한 종합계획 수립, 치유농업사 등 전문인력 양성, 치유농업 창업 지원 등이 활발하게 이루어짐을 물론 이 분야의 규모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치유농업은 이처럼 육성법까지 제정되었으나 공예 분야에서는 공예치료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공예는 △ 창조적 표현을 할 수 있게 한다. △ 계획, 준비, 판단을 할 수 있게 한다. △ 불안과 긴장을 풀어 준다. △ 소근육과 대근육 운동에 도움이 된다. △ 대인관계 향상에 도움이 된다. ...